이스라엘 팔레스타인 분쟁은
예루살렘을 중심으로!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의 갈등 (1)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분쟁 이유를 한마디로 요약한다면 단순히 땅따먹기가 아니라
민족간의 해묵은 갈등의 역사가 4000여 년을 지나서도 계속되고 있다고 정의할 수 있다.
1.팔레스타인들을 정복하고 가나안 땅에 정착
BC 2000여 년 전 유대인의 조상인 아브라함이 팔레스타인으로 불리는 가나안 땅의 여러 족속들을 정복하고
성경에서 나오는 젖과 꿀이 흐르는 땅인 가나안에 정착해서 살게 된다.
어쩌면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분쟁의 시발점은 아브라함 일지도 모른다.
성경에서 하나님이 히브리 민족에게 주기로 한 젖과 꿀이 흐르는 약속의 땅이 가나안인데 이미 아브라함 이전에도 이곳에는 가나안 족속들(팔레스타인으로 추정)이 살고 있었던 것이다.
아브라함은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의 공통의 조상으로 현재 받들고 있다.
2. 야곱 가나안 땅을 떠나다.
아브라함의 손자인 야곱 때에 이르러 야곱의 열두 아들 등과 함께 엄청난 기근 속에
가나안 땅을 떠나 애굽 땅(이집트)으로 들어가며 400여 년의 유랑 생활을 하게 된다.
아브라함의 아들은 이삭이고 그의 아들인 야곱은 열두 아들이 있었는데 즉 아브라함의 손자인 야곱 시절에
극심한 기근으로 어쩔 수 없이 가나안을 등지고 애굽(이집트)을 향해 떠날 수밖에 없었다.
이 대목은 야곱의 아들들이 막내 요셉을 팔아먹는다는 이야기가 성경에 등장하는 그때이다.
이렇게 아브라함의 후손들은 가나안을 떠나게 되고 그 자리는 팔레스타인인들이 살게 된다.
3. 블레셋 족속들 여전히 가나안 거주
블레셋은 아스돗, 아스글론, 에그론, 가드, 가사(지금의 가자) 등 5대 도시로 불리는
가나안의 가장 비옥한 블레셋 평야를 점령하여 살고 있었다.
팔레스타인(Palestine) 어원은 블레셋 또는 블레셋의 땅을 의미한다.
이들은 아브라함보다 먼저 가나안으로 이주하여 정착하고 있었다.
이후 그들은 나름 강력한 힘으로 가나안 해안지역인 블레셋 평야 지대를 지배하게 된다.
4. 모세의 출애굽과 여호수아의 가나안 입성
모세가 히브리 민족을 이끌고 이집트를 탈출하여 40년간 광야에서 방랑하다 떠나고
BC 1400년 경 여호수아 때 이르러 이스라엘 민족은 400년 만에 가나안에 들어가게 된다.
블레셋의 군사력은 만만한 상대가 아니기에 모세가 이끄는 출애굽 한 이스라엘 백성은
강력한 군사력의 팔레스타인 블레셋 지역이 아닌 광야로 우회하여 40여 년의 방랑을 하게 된다.
그 후 모세가 떠난 후 여호수아 때에 이르러서 가나안을 입성하게 된다.
물론 이때도 아스듯, 아스글른, 에그론, 가드, 가사(지금의 가자) 등 5대 도시 등은 블레셋의 지배하에 있다.
5. BC 1020여 년 경 다윗과 골리앗 싸움
이스라엘 역사에서 가장 강력한 왕국이 형성되었던 시대는 다윗과 그의 아들 솔로몬 왕의 시대인데
그 다윗의 돌팔매 이야기에 블레셋의 장수 골리앗이 등장한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블레셋 간의 갈등과 민족적 적대감은 끊임없이 성경에도 제기되고 있는데
사울 왕 시절의 다윗이 밀리고 있던 이스라엘군에 앞서 출진하여 적 장수였던 블레셋의 골리앗을 꺾으며
이스라엘 쪽으로 힘의 균형추가 옮겨지게 되며 그 후 블레셋은 이스라엘의 견제하에 놓이게 된다.
6. 북 이스라엘과 남유다로의 분열과 이슬람에의 멸망(BC 6세기)
솔로몬 사후 남유다와 북 이스라엘로 분열되어 신 바빌로니아와 아시리아에 각각 멸망되며 블레셋 역시 멸망된다.
솔로몬 사후 그의 아들 르호보암에게 반기를 든 유다 지파와 벤야민 지파를 제외한 10지파가 여로보암을
지지하면서 왕국은 남유다와 북 이스라엘로 분열되는데 이 역시 신 바빌로니아와 아시리아에 각각 멸망된다.
훗날 북 이스라엘 왕국의 후손은 사마리아인, 유다 왕국의 후손은 유대인으로 불리게 된다.
BC930년경 유다(Judah) 왕국과 이스라엘(Israel) 왕국으로 남북 분열
BC 720년 경 이스라엘 왕국이 먼저 아시리아(Assyria)에 의해 멸망
BC 586년경 바빌로니아(Babylonia)에게 유다 왕국마저 정복
사실 이때도 팔레스타인은 존재하는데 최근 전쟁이 한창인 가자 지구도 당시에는 팔레스타인 관할이다.
하지만 팔레스타인 역시 신 바빌로니아의 느부갓네살 왕에 의해 BC 6세기에 멸망된다.
7. BC 4세기경 알렉산더(Alexander) 대왕에 정복 당하며 그리스의 지배 시대
8. BC 2세기경 하스모니아 왕조의 반자치적인 유대 통치 시대
9. BC 63년 로마제국 폼페이우스 장군 예루살렘 점령
로마(Rome) 장군 폼페이우스(Pompeius)가 예루살렘을 점령하고 유대의 왕으로 헤롯 임명하며
헤롯은 60여 년 통치를 하게 되며 이때 예수가 등장한다.
AD 66년 유대인 1차 항쟁, AD 70년 경 로마의 티투스 장군에 의해 예수살렘 성전 파괴,
AD 73년 2차 항쟁 이후 유대인은 디아스포라로 뿔뿔이 흩어진다.
디아스포라는 기존에 살던 본토를 떠나서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여
특정한 집단을 형성하는 것이나 그 집단을 뜻한다.
10. AD 637년 예루살렘 이슬람교도들이 지배
예루살렘의 중심 모리아 산에 AD 692년 이슬람 바위 돔 사원 건축
예루살렘의 중심부 모리아 산에 AD 691년 이슬람 바위 돔 사원이 건축된다.
모리아산은 아브라함이 자기 아들 이삭을 하나님께 희생 제물로 바치기 위한 장소이며
예수님도 들렀던 유대교 성전인 헤롯 성전 장소로도 알려져 있는 곳이며 이슬람에서는 선지자 무함마드가
천사 가브리엘에 의해 모리아 산으로 이끌려가 천국으로 간 자리라고 믿는 등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 등 모두에게 성지로 여겨지는 곳이다.
따라서 바위 돔 사원이 위치한 예루살렘은 팔레스타인 측과 이스라엘이
서로 통치권을 주장하는 예민한 종교 분쟁 지역이 된다.
11. 11세기~13세기 십자군 원정
1099년~1291년까지의 십자군 원정 시대에는 팔레스타인 지역이 십자군의 통치하에 있었다.
12. 오스만 제국(튀르키예)의 지배
이슬람 국가인 오스만 제국은 지금의 튀르키예이다 (옛 국가명: 터키)
1882년 이후 러시아와 폴란드에서 유대인의 대규모 이민인 알리야가 진행되며
1909년에는 서부 지중해 연안에 유대인 도시인 텔아비브가 건설되며 시온주의가 활발히 진행된다.
시온주의란 팔레스타인 지역에 유대인 국가 건설을 목적인 민족주의 운동을 말하며
이는 주변 아랍 국가들과의 마찰을 가져온다.
13. 1915년 10월 1차 세계대전 중 후세인-헨리 맥마흔(영국) 서한
전후 아랍인의 독립국가를 건설하는 것을 지지하기로 약속한 선언
하지만 후에 벨푸어 선언 등이 나오며 지켜지지 않았고 이에 아랍국들의 대봉기 단초가 된다.
13. 1917년 제1차 세계대전 후 오스만제국의 팔레스타인 지역 영국 통치로 전환
영국은 이번에는 1917년 밸푸어선언에서 팔레스타인에 유대인의 국가 건설을 보장한다고 약속하게 된다.
14. 제2차 세계대전 유대인 대학살
15. 1947년 UN 팔레스타인에 아랍, 유대인 개별 국가 건설 결정
1948년 5월 14일 이스라엘 독립선언
1948년 5월 15일 아랍국들 이스라엘 침공
UN은 영국 통치령이었던 팔레스타인을 유대인 지구와 아랍인 지구,
그리고 베들레헴과 예루살렘을 포함한 국제연합 통치령으로 분할한다는 분할안은 내놓게 된다.
그리하여 드디어 1948년 5월 14일 팔레스타인 지역인 가나안 땅에 드디어 이스라엘의 독립을 선포하는데
다음 날인 5월 15일 이집트, 요르단, 시리아, 레바논, 이라크 등 주변 아랍국의 이스라엘 침공이 개시된다.
10개월 간의 전쟁 결과
□ 이스라엘
유대인 지구 전체, 아랍인 지구의 60% 점령
□ 요르단
요르단 강 서안 지구 병합
□ 이집트
가자 지구 정복
팔레스타인 아랍인들은 아쉽게도 이 전쟁에서 패하며 UN이 제시했던 아랍인 지구 국가 수립에 실패한다.
그리고 이후 지루한 중동전쟁은 시작된다.
이후 중동전쟁 진행은 다은 편에서 정리하기로 한다.
'투자,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보증보험] 공모주 청약 일정 (10월 국내 IPO 고배당주) (0) | 2023.10.13 |
---|---|
[신성에스티] 공모주 청약 경쟁률 , 균등 비례 배정 결과 (1) | 2023.10.12 |
[해외선물] 나스닥,항셍 지수투자로 수익보는 방법 (1) | 2023.10.11 |
[에스엘에스바이오] 상장일 주가 공모주 청약 (바이오 관련주) (0) | 2023.10.11 |
[신성에스티] 공모주 청약 상장일 주가 (전기차 배터리 2차전지 관련주) (0) | 2023.10.11 |